가을꽃의 향연 드림파크 국화축제 가을꽃의 향연 국화축제 메립지에 조성된 드림파크에서 10번째 국화축제가 9/26일부터 열리고 있다는 길가의 안내판을 보고, 이번 축제 마지막날인 일요일에 집의 김여사에게 가보자고 했더니 좋단다. 작년에 조금 늦은 시간에 가서 옳게 구경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는데 잘 되었다는 얘기.. 놀러가기 2013.10.08
한통속이 된 세개 섬 신도.시도.모도 한통속이 된 세개 섬 신도,시도,모도 산도(信島) : 인천광역시에서 북서쪽으로 14km,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최고점은 구봉산(九峰山:178.4m)이다. 지명은 이곳에 사는 주민들이 성실하고 순박하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진짜 소금을 생산하는 곳이라 하여 진.. 섬돌기 2013.09.28
무의도에 소무의도는 덤으로. 무의도에 소무의도는 덤으로. 1.누구가 : 총원7명(상윤,석준,성순,승섭,영주,월동 그리고 까미아비) 2.언 제 : 2013년 9월 21일(토) : 구름 3.어디로 : 소무의도-호룡곡산-국사봉 4.얼마나 : 5시간20분(휴식,식사시간 포함) 명절추석 나와 처의 두 어메를 보고, 조상님께 감사 차례를 지내러 고향에.. 산오름 2013.09.24
치산계곡 공산폭포 탐방 치산계곡 공산폭포 탐방 김여사 어메(까미아비 장모님)가 계시는 시골집 뒤쪽 멀리에 팔공산 능선이 둘러 쳐저 있다. 있는둥 마는둥 별 관심이 없었다가 이제는 눈에 들어와 까미아비보고 자꾸 오라고 한다. 기둘려!!1 다음에 오면 치산계곡을로 하든지 은해사를 들머리로 하든지 한번 들.. 놀러가기 2013.09.24
불암산 더하기 수락산는? 불암산(508m) 더하기 수락산(637m)는? 불암산은 서울시와 경기 남양주의 경계를 이루며 덕능고개를 사이에 두고 수락산과 이웃하고 있다. 서울시 경계에 위치한 5개 산 가운데 가 장 낮은 산이다. 그러나 정상부분이 온통 바위산을 이루고 있어 규모를 뛰어넘는 기품을 자랑한다.주봉은 해발 .. 산오름 2013.09.18
부천 원미산 산책 부천의 산 원미산(遠美山) 산책 원미산은 멀미산으로, 멀미의 ‘멀’은 머리에서 나온 것이다. 머리는 ‘ㅁ.ㄹ.’에서 나온 말로 ‘꼭대기·마루’를 뜻하며, ‘크다·신성하다·존엄하다’의 뜻도 가지고 있다. ‘미’는 산의 고유어로 ‘미·메·뫼’ 등이 쓰였다. 그러므로 멀미산은.. 산오름 2013.09.18
야트막하지만 큰산 삼성산 야트막하지만 큰산 삼성산(三聖山, 해발 481m) 서울 주변에는 북한산과 관악산, 남산, 도봉산, 인왕산, 청계산 등 모두 30여 개의 산이 있다. 그중 서울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에 걸쳐 있는 삼성산(三聖山, 해발 481m)은 조금 특별하다. 삼성산은 원효와 의상, 윤필 등 세 고승이 677년 암.. 산오름 2013.09.12
대전현충원방문+1 대전현충원방문+1 자주 찿아 본다는 것이 마음 뿐인 공염불이어서 항상 죄스러운 마음인데 추석 명절을 핑계삼아 아버지집을 찿아 보려고 나선다. 주말이라 어느정도의 차 밀림은 애교라 생각하는데 대전까지 5시간이 넘게 걸리니 명절 못잖은 정체에 짜증 섞인 푸념이 나오는 건.. 놀러가기 2013.09.03
섬넘어 섬 석모도 해명산 섬넘어 섬 석모도 해명산(327m) 서울 근교에서 섬에 있는 산은 강화 마니산이 대표적 산인데 해명산, 낙가산, 상봉산은 배를 타고 다시 들어가야 되는 석모도에 위치하면서 주능선상에 같이 있는 산들이다. 그 중에 해명산이 제일 높아 석모도의 주봉이지만, 산아래 우리나라 3대 관음도량으로 유명한 보문사를 품고 있는 낙가산이 더 유명한 산이다. 동서로 길게 뻗은 주능선은 수림이 울창하고 곳곳에 암릉이 있어 아기자기한 산행을 즐길 수가 있는 산들이며, 주능선으로 걸어가다 망망 대해를 굽어보면 가슴이 후련해질 뿐만 아니라 낙가산 정상 일대에서 강화 8경의 하나인 서해의 낙조를 볼 수가 있다. 상봉산 정상은 큼직큼직한 바위가 쌓여 있고 정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서해바다와 석모리 일대에 넓은 평야가 시원스럽다. 석모.. 섬돌기 2013.08.29
청계산 맛보기 청계산 매봉 청계산이란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곳은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라고 한다. 그전에는 청룡산이란 이름이 목은 이색(고려말의 학자. 포은, 야은과 함께 고려말의 삼은)의 시에 보일 뿐이다. 청룡산 아래 옛절 얼음과 눈이 끊어진 언덕이 들과 계곡에 잇닿았구나 단정히 남.. 산오름 2013.08.28